본문 바로가기
목차
카테고리 없음

병원 대형화의 두 얼굴: 수익 증대 vs 의료 서비스 질 저하

by 힐링블링 2025. 2. 19.

병원 대형화의 두 얼굴
독립병원이 대형 의료 시스템에 인수되는 사례가 미국에서 급증하고 있습니다. 장점과 단점을 알아 봅시다.

병원 시스템 소유권 변화가 수익성과 의료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근 몇 년간 독립 병원이 대형 의료 시스템에 인수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000년에는 미국 병상 중 58%가 의료 시스템의 통제하에 있었으나, 2020년에는 이 수치가 81%로 증가했습니다. 독립 병원이 없는 지역의 비율도 7%에서 25%로 상승하며, 의료 산업의 대형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Elevance Health 연구진은 독립 병원이 대형 의료 시스템에 인수된 후 어떤 영향이 발생하는지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 수익성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환자 진료의 질적 측면에서는 우려되는 부분도 확인되었습니다.


병원 인수 후 나타나는 주요 변화

Elevance 연구진은 2013년부터 2017년 사이 시스템 소유권으로 전환된 101개 독립 병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격, 운영 비용, 재입원율 등 세 가지 핵심 지표를 집중적으로 조사했습니다.

1. 병원 인수 후 평균 수익과 비용 절감 효과

  • 병원의 평균 연간 수익은 약 2.7백만 달러 증가
  • 연간 운영 비용은 약 11.2백만 달러 감소
  • 연간 총 수익 잉여(수익 증가 + 비용 절감)는 13.9백만 달러

이는 대형 병원 체계로 편입됨으로써 경영 효율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2. 입원 환자 1인당 진료비 증가

  • 인수 후 2~3년 내 상업 보험 가입 환자의 평균 입원 비용이 약 6% 증가
  • 동일 시장 내에서 병원 간 합병이 이루어진 경우 가격 상승 폭이 더욱 컸음

이는 의료 시장에서 경쟁이 줄어들면서 가격 책정력이 강해진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심장 질환 환자의 재입원율 증가

  • 입원 후 90일 이내 심장 질환 환자의 재입원율이 평균 3%p 증가
  • 이는 심장 질환 환자들이 다른 질환보다 응급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병원을 피할 수 없다는 점과 관련

이 같은 결과는 병원의 운영 효율성은 높아졌지만, 환자 치료의 질이 일부 저하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4. 인수 후 인건비 절감과 병상당 운영 비용 감소

  • 인수 후 병원 인건비 지출이 평균 6% 감소, 이는 전체 비용 절감의 60% 차지
  • 병상당 연간 운영 비용 약 80,000달러 절감
  • 병상당 입원 환자 수익 증가: 약 11,656달러
  • 병상당 운영 비용 감소: 약 48,281달러

5. 병원 운영 이익 증가

  • 병상당 연간 병원 운영 이익은 평균 60,000달러 증가, 이는 운영 비용의 6%에 해당
  • 연구진은 “운영 비용 100달러 절감 시, 병원은 8달러 상당의 상업적 수익 손실을 감수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

6. 인력 감축과 재입원율 증가의 연관성

  • 연구진은 병원 인수 후 고용 인력이 감소하면서 인건비 절감 효과가 발생했지만, 이는 재입원율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분석
  • 고용 축소가 심한 병원일수록 재입원율 상승 폭도 컸음

병원 대형화의 득과 실: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독립 병원이 대형 의료 시스템에 인수될 경우 운영 비용 절감과 수익성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하지만, 의료 서비스의 질이 일부 저하될 위험도 존재합니다.

특히 심장 질환 환자의 재입원율 증가와 같은 결과는 병원 인수 후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가 충분히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향후 전망과 의료 정책 과제

병원 대형화는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의료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대응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1. 의료 서비스 품질 유지 기준 강화
    • 대형 의료 시스템 내 병원 운영 시, 재입원율 등 품질 지표를 엄격하게 관리하는 정책 도입
    • 인수 후에도 환자 중심의 치료가 유지되도록 의료진 교육 및 인력 유지 전략 수립
  2. 경쟁 환경 조성 및 가격 상승 방지
    • 독립 병원의 빠른 감소로 인해 지역 의료 시장에서 경쟁이 약화되지 않도록 규제 정책 마련
    • 병원 간 합병 시 가격 상승을 제한하는 감독 기구의 역할 강화
  3. 인력 감축 최소화 및 의료진 지원 강화
    • 병원 인수 후 인건비 절감이 지나치게 진행되지 않도록 정책적 가이드라인 수립
    • 의료진 감축이 아닌 효율적 배치 및 업무 최적화를 통한 운영 개선 유도

결론: 의료 산업의 균형 발전을 위한 고민 필요

병원 인수는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재입원율 증가와 같은 의료 품질 저하 위험도 동반합니다.

결국, 의료 시스템의 대형화가 환자들에게 최선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의료 서비스 품질 유지와 비용 절감 간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 운영진과 정책 결정자들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지속 가능하고 환자 중심적인 의료 시스템 구축을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https://www.journals.uchicago.edu/doi/10.1086/730454